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 가는 배편 안에서 측정한 것 입니다.


바다가 험하여 배가 계속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osted by Parker Falcon

SeisMac

2007. 12. 23. 03:46
사용자 삽입 이미지

SeisMac 2.0 :: http://www.suitable.com/tools/seismac.html


SeisMac은 MacBook이나 MacBook Pro에 있는 SMS(Sudden Motion Sensor)를 이용한 지진 기록계 입니다.
실제로 센서의 값을 실시간으로 가져와서 3방향에 대해서 그래프를 그려줍니다.
MacBook뿐만 아니라 iBook이나 PowerBook과도 호환이 된다고 하네요.
Wikipedia에 있는 SMS에 관한 자료를 보면
예전의 G4를 쓰던 랩탑에 쓰인 센서는 약 1g당 52단계의 (약 0.0192g단계로) 분해능이, 최근의 Intel의 제품을 쓰는 제품에는 1g당 250단계(0.004g단계)의 분해능이 있다고 합니다.
최근의 MacBook Pro 15"에는 Kionix KXM52-1050 three-axis accelerometer chip를 사용하였는데, +/- 2g(지구 중력 가속도)로 1.5KHz까지 측정가능하다고 합니다. 실제로 사용해 보면 대단히 민감하다는 것을 할수있는데요. 가만히 두어도 변하는 값이 보일만큼 상당히 정밀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고로 분해능을 높인 장면입니다. 500Hz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닥에서 가만히 두고 (팬도 1800rpm) 찍은 것 입니다. 센서가 문제 있는것일지도 모르겠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드럽게 해서 찍은 것 입니다. 참고로 저렇게 연결된 것은 단지 우연입니다.


Posted by Parker Falc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동이 크지 않을 때 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약 290km/H로 달릴 때 찍은 것 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충격 완충하는 장치를 느낄수 있는 부분입니다.




오늘 KTX를 타면서 기록했던 부분입니다.

2007년 12월 22일
15:30 ~ 18:16 KTX 속에서

SeisMac
Sample Rate : 200Hz
Buffer Size : 3 Hours
Smooth Data : On

7.89Hz ~ 9.37Hz 사이의 Z축(상하) 진동이 자주 감지되었다.

KTX열차 자체의 충격 흡수장지의 스프링 상수와 열차의 무게 사이에 측정한 값 근처에 있는 어떤 값과 상관이 있을것으로 추측.
Posted by Parker Falcon

ICS 패치 이후

2007. 12. 22. 11:45

Microsoft에 Vista의 인터넷 공유 (ICS, Internet Connection Sharing) 문제에 대한 패치를 요청하여, Hot fix를 제공받았습니다.

테스트할 시간이 많지는 않았지만,

아직까지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약 8시간쯤 공유 기능을 가동하였는데,
 
아직까지는 Socket이 더이상 생기지 못하는 버그가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당분간 테스트를 더이상 하지는 못하게 될 거 같군요 :)

나중에 다시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Parker Falcon

잘은 몰라도 현재 윈도우즈 Vista에 인터넷 공유 기능에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증상?

MS에서 공식적으로 설명한 바에 따르면

After you configure Internet Connection Sharing in Windows Vista, the network connection stops working after one-to-two hours

약 1~2시간 정도 일을 한 다음에 멈추는것으로 이야기 하고있습니다.


몇 가지 증상중에 제가 확실하게 확인한 것은

- 몇 시간 정도 사용하면 인터넷이 불가능해 지는 것
상세설명 : [인터넷이 들어오는 랜 카드/어뎁터] - [비스타] 사이에서 소켓 생성이 더이상 안되어 인터넷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일부 컴퓨터에서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MS에서 설명한 바로는 약 1~2시간 후 이고, 그 시간은 상황에 따라서 12시간정도까지 늘어날수 있는것 같습니다만, 그 시간이 지나면 소켓생성이 전혀안됩니다. 그리고 제가 추측하는바에 따르면, 처음부터 반대쪽( [비스타] - [공유 받는 랜 카드/어뎁터] ) 또는 원래쪽의 소켓이 생성되는데 문제가 생겨서 일부 컴퓨터에서 공유 기능이 말썽을 이르키는 것 같습니다.

해결방법?

아직 공식적인 패치가 나온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MS에Hot-fix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http://support.microsoft.com/kb/937168
이쪽에 가 보신다면 요청하실수는 있겠네요. CD-KEY나 인증등을 요구하지 않으니 찜찜한 사용자들도 문제있으시면 신청받아보실수 있습니다.

'Digital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isMac을 이용한 진동 기록 : KTX  (0) 2007.12.23
ICS 패치 이후  (0) 2007.12.22
안습 스피커 시스템  (0) 2007.12.16
Windows Vista의 인터넷 공유 기능?(2)  (0) 2007.12.14
프로젝트를 하면서 느낀점.  (0) 2007.12.13
Posted by Parker Falcon

회로 스켄 자료

2007. 12. 16. 15:21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안습 스피커 시스템

2007. 12. 16. 15:08

지금 제 데스크탑의 음량 시스템은 좋지 않습니다.

[데스크탑] - [일반 스피커 as 앰프] - [KTX에서 판매하는 이어폰 케이블] - [INKEL 저렴한 스테레오 30/50W, 8ohm]

앰프를 구입할 형편이 안되는 관계로 이러한 상황에서 음량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만,

가끔씩 빠지는 [이어폰 케이블]은 정말 케이블을 사고싶게 만들고..

팡팡 터지지 않는 스피커는 [쓸만한 앰프]를 사고싶게 만듭니다.

'Digital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S 패치 이후  (0) 2007.12.22
Vista의 인터넷 공유(ICS) 문제  (0) 2007.12.19
Windows Vista의 인터넷 공유 기능?(2)  (0) 2007.12.14
프로젝트를 하면서 느낀점.  (0) 2007.12.13
무선 공유의 고달픔  (0) 2007.12.13
Posted by Parker Falcon
Leopard에서 미리보기를 이용하여

그림 파일을 연 다음

색 조절을 하고, 저장을 하면

에러가 나서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현재 OSX Leopard 10.5.1의 두 맥북에서 동일한 증상이 일어나는것으로 보아

뭔가 문제인것은 확실한것으로 느껴지는데;;

여러분들도 그러한 증상이 있나요?

'Digital Life > with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맥북? MacBook Air? MacBook Slim?  (0) 2008.01.16
SeisMac  (1) 2007.12.23
Tiger에서 Leopard로 바꾸고 느낀점 몇가지  (2) 2007.12.13
여기는 Leopard 9A581입니다.  (0) 2007.10.31
Aircrack & KisMAC  (0) 2007.10.28
Posted by Parker Falcon
이전에 비스타의 인터넷 공유 기능을 의심(?)하는 게시물을 쓴 적이 있습니다만,

이번에 집에 무선 랜 카드를 설치한 다음 다시 도전해 보았습니다.

현재 집에 들어오는 인터넷은

[인터넷 공급업체] - [유선공유기 ] - [데스크탑] - [무선랜을 이용한 공유] - [맥북]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몇번 잘 안된 경우 가 있긴 하지만 일단은

1:1/ 1:2까지의 인터넷 공유는 큰 문제 없이 잘 되었습니다.

확실히 비스타의 인터넷 [다시공유] 기능에 심하게 문제는 없는것 같습니다만, 이번에는 공유기가 UPNP로 있어서 좀 더 편했는지 모르겠습니다.

'Digital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ta의 인터넷 공유(ICS) 문제  (0) 2007.12.19
안습 스피커 시스템  (0) 2007.12.16
프로젝트를 하면서 느낀점.  (0) 2007.12.13
무선 공유의 고달픔  (0) 2007.12.13
Windows Vista의 인터넷 공유 기능?  (1) 2007.12.13
Posted by Parker Falcon
Mac OSX 10.4.10 -> Mac OSX 10.5.1로 바꾸고 난 다음 몇가지 느낀점이 있었습니다.

우선은 3세대 맥북의 중간 모델을 사용하는(X3100이전 모델)

저에게 Leopard의 효과는 약간은 무겁습니다.

그래서 독은 웬만하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왼쪽/오른쪽에 두고 사용합니다.



부팅이 많이 느려졌습니다..

정확하게 멀하면 타이거가 많이 빨랐고, 거기에 비해서

Leopard는 좀 덜 빠를 뿐이긴 하지만, 그 때문에 맥북을 끈 상태로 보관하는 일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뭐 덕분에 사용에는 큰 차이가 없긴하지만, 빠른 부팅이라는 장점이 많이 없어졌다는 점에서는 많이 아쉽습니다.



Spotlight를 좀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전에는 많이 사용할 일이 적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번 들어서 특히 Spotlight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필요한 자료가 있을 때 정말 검색하면 나옵니다.

안나오면 없는것이더군요.

좀 놀라울 정도로 신기한 indexing기능입니다.



QuickLook 이거 물건입니다.

처음에 Steve Jobs의 시연을 볼 때는 별로 쓸데없는 기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사용해보니 이전에 있던 [여러 이미지 슬라이드쇼로 보기] 의 기능을 확장한 느낌이었습니다.

여러 종류의 파일을 미리 볼 수 있고, 그러므로 그런 자료들을 바탕으로 슬라이트 쇼 형대로 한꺼번에 미리보기 사용 가능한 점

정말 놀라웠습니다.



Cover Flow는 자주 사용하진 않았습니다만, 쓸만합니다.

사실 기능보다 효과가 큰 부분이라 생각해서 자주 사용하진 않았습니다만,

필요한 PDF를 한눈에 찾아보고싶을때 괜찮은 기능이라 생각하였습니다.

불만 없이 사용하고있습니다.

'Digital Life > with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맥북? MacBook Air? MacBook Slim?  (0) 2008.01.16
SeisMac  (1) 2007.12.23
Preview의 Color Adjustment + Save = Error!  (1) 2007.12.15
여기는 Leopard 9A581입니다.  (0) 2007.10.31
Aircrack & KisMAC  (0) 2007.10.28
Posted by Parker Fal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