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OS X 10.7과 10.8 (Lion과 Mountain Lion의 경우는 명령어가 다릅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에 추가되었습니다.

가끔 홈페이지 주소가 바뀌거나, 새 단장 하였는데 제대로 뜨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 중 하나는 DNS 캐쉬를 가지고 있어서 입니다. 흔히 '도메인 주소'라고 하는 글자 주소를 '아이피 주소'라고 하는 숫자 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DNS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아래 HowStuffWorks 의 페이지를 참고합니다.


http://www.howstuffworks.com/dns.htm

이 도메인 캐쉬를 초기화 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OS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1. Windows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flushdns [엔터]를 입력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는 흔히 이야기 하는 커맨드창입니다. 시작 -> 실행을 선택하거나 윈도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띄운 후 cmd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나타납니다.

참고로 ipconfig /displaydns 를 누르면 캐쉬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참고:  DNS 캐쉬 끄기
DNS 캐쉬를 끄는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DNS캐쉬 덕분에 인터넷 페이지 뜨는 속도도 조금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설령 DNS 캐쉬로 인해 문제가 생기더라도 캐쉬를 비우는것이 낫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쉬 기능을 끄고 싶다면 아래 방법을 참고합니다.

- 임시로 끄기
다음 부팅 전 까지만 적용됩니다. 계속 적용하려면 아래의 다른 방법을 이용합니다.
1. 명령 창에서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진행하려면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net stop dnscache
sc servername stop dnscache


- 완전히 끄기
설정에서 다시 켜기 전 까지만 적용됩니다.
1. 시작 -> 실행 또는 윈도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띄웁니다. services.msc를 입력해서 실행합니다.
2. 목록에서 DNS Client라는 이름을 찾아 마우스로 오른클릭하여 속성을 선택합니다.


3. 시작 유형을 사용 안함으로 선택하고 중지한 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만약 다시 사용하려면 자동을 누르고 시작을 누르면 됩니다.


2. 리눅스
리눅스에서도 명령어를 한 줄 입력하면 됩니다.

/etc/init.d/nscd restart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는 명령인데, 정지 중에 실패가 뜨는것은 크게 상관없습니다. 만약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다면 restart대신 stop 을 입력해서 다시 서비스를 멈추도록 합니다.

3. 맥
원래는 맥용을 쓰려다가 앞에 두 개도 같이 추가했습니다. 맥은 Mac OS X 버전에 따라 달라집니다.
참고: 맥 버전 확인하기 링크 http://blog.bandoche.com/549

- 터미널 창을 엽니다. 오른쪽 위에 검색창 Spotlight에서 터미널 입력하면 응용 프로그램으로 나오는 터미널을 선택합니다.



A. 버전 10.5.2 ~ 10.6.x 버전 10.5.2 이상 (10.7 / 10.6 / 10.5.2 포함)
터미널 창에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dscacheutil -flushcache
sudo dscacheutil -flushcache



B. 버전 10.5.1 이하 ( 10.4 / 10.3 포함)
lookupd -flushcache

특별한 결과 메시지는 없습니다. 바로 적용되었습니다.

~추가내용~

C. 버전 10.7, 10.8의 경우

sudo killall -HUP mDNSResponder

출처: http://support.apple.com/kb/HT5343

4. 아이폰(을 포함한 iOS)
간단합니다. 전원 버튼을 꾹 눌러 껐다가 다시 켜면 됩니다.



Posted by Parker Falcon
맥에서 운영체제 버전 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사과 메뉴에서 이 매킨토시에 관하여 메뉴를 선택합니다.


2. 버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참고로 버전 글자를 클릭하면 더 자세한 빌드 번호와, 시리얼 번호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arker Falcon
OS X 가 Lion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몇 가지 달라진 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용자 라이브러리 폴더 (~/Library)가 숨김 설정으로 바뀐 것 입니다. 이유가 어찌되었건 라이브러리 폴더를 들어가는게 조금 귀찮아졌습니다. 다행히 접근 자체가 막힌것은 아니므로 방법은 여러가지 있습니다. 아래 방법 중 편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1. 라이브러리 폴더 보이가 바꾸기.
가장 확실하고 한 번만 작업하면 다시 손 볼 필요가 없는 방법입니다. 시스템 자체의 설정값에서 Library 폴더를 숨기지 않도록 바꿉니다.

i)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오른쪽 위에 Spotlight에서 터미널 검색해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됩니다.



ii)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Finder창을 열어보면 라이브러리 폴더가 보입니다.
chflags nohidden ~/Library/


iii) 만약 위 명령을 취소하려면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다시 라이브러리 폴더가 숨겨집니다.
chflags hidden ~/Library/



2. 이동 명령 사용
특정 폴더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i) Finder 메뉴에서 이동 -> 폴더로 이동... 을 선택합니다. 단축키는 Cmd + Shift + G 입니다.


ii) 창이 뜨면 ~/Library 를 입력합니다. 라이브러리 폴더가 열립니다. 참고로 ~는 사용자 홈 폴더 (/Users/사용자이름/ )를 대신하여 쓰는 문자입니다.



3. Option 키 활용
맥에서는 다양한 단축키 기능이 숨어있습니다. 저도 최근에 알게된 방법입니다.
i) Finder 메뉴에서 이동을 선택합니다.


ii) 키보드에서 option 키를 누릅니다. 라이브러리 메뉴가 나타납니다.


어떤 방법이든 편리한 방법을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저는 원래 2번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웬지 1번은 시스템 설정을 바꾸어야 되어 맘에 들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3번 방법을 알게되어 아마 이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될 것같습니다.

이 외에도 터미널에서 직접 폴더를 열거나,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정도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Posted by Parker Falcon